티스토리 뷰

오늘은 프로젝트 관리 도구로 유명한 JIRA의 무료 버전, JIRA Cloud Free를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팀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싶지만 비용은 줄이고 싶다면, 무료 버전을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1. JIRA 소개

JIRA는 Atlassian에서 개발한 프로젝트 관리 및 이슈 추적 도구로, 소프트웨어 개발 팀뿐만 아니라 다양한 팀에서 작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때 유용합니다. 특히 애자일(Agile) 방법론을 따르는 팀에게 유용합니다. JIRA는 클라우드(Cloud)와 서버(Server) 버전이 있는데, 오늘 다룰 JIRA Cloud Free는 최대 10명까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입니다. 설치 없이 바로 시작할 수 있다는 점이 큰 매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JIRA 장단점

장점

  • 무료 : 10명까지 무료로 지원하며, 소규모 팀이라면 비용 부담 없이 사용 가능
  • 설치 불필요 : 브라우저만 있으면 어디서든 접속 가능
  • 다양한 기능 : Kanban, Scrum, 타임라인 등 프로젝트 관리에 필요한 도구가 풍부

단점

  • 제한된 저장 공간 : 무료 버전은 2GB로 제한
  • 고급 기능 제한 : 상세한 보고서나 복잡한 권한 설정은 유료 플랜에서만 가능
  • 인터넷 의존 : 클라우드 기반이라 오프라인 사용은 불가

단점을 감안하더라도 개인 프로젝트나 소규모 팀 작업에 무료로 이 정도 퀄리티면 충분히 써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3. 무료 사용 방법

https://www.atlassian.com/software/free

  • 위 URL 로 접속하여 "Jira" 를 선택합니다.

  • Jira "Get started" 버튼을 클릭하고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 사이트 주소를 지정하고, "Continue" 버튼을 클릭합니다.

  • 기본적인 템플릿을 설정합니다. 저는 "Project management" 를 설정하였습니다.
  • 칸반(Kanban) : 작업 흐름을 시각화해서 관리하는 애자일 방법론. "To Do", "In Progress", "Done" 같은 열로 작업 상태를 표시. 한 번에 진행 중인 작업 수를 제한해 효율성을 높이고 고정된 주기 없이 작업이 끝날 때마다 다음 작업을 시작
  • 스크럼(Scrum) : 정해진 주기(스프린트) 안에 목표를 달성하도록 돕는 애자일 프레임워크. 1~4주 단위로 작업 주기를 설정. 규칙과 역할이 명확. 정해진 기간 안에 결과물을 내야 할 때 유용

  • 보드는 "할일, 진행중, 완료" 열로 작업 상태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 타임라인은 작업의 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마감일을 설정하여 일정을 관리합니다.

  • JIRA의 모든 작업은 "이슈" 단위로 관리됩니다. Task, Story, Epic 등으로 나눠서 세부적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JIRA Cloud Free는 무료로 프로젝트 관리를 시작하기에 정말 좋은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설치 없이 바로 쓸 수 있고, 소규모 팀이라면 충분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개인/소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할때 JIRA를 시작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최근에 올라온 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