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AI 챗봇의 대표주자 ChatGPT, DeepSeek, Grok 은 각기 다른 매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들의 특징과 기술적 기반을 간단히 들여다보고 무료 버전의 차이를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각 프로그램의 특징

ChatGPT : 자연스러움

OpenAI의 ChatGPT는 2022년 데뷔 이후 AI대화의 기준이 되었습니다.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기반으로 텍스트를 생성하며, 일상 대화부터 창작, 코딩까지 다재다능합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 초안을 써줘" 하면 맥락에 맞춰 깔끔하게 정리해 줍니다. 일상적인 대화부터 창작, 코딩까지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올라운더형 AI라고 할 수 있습니다.

 

DeepSeek : 기술 전문가

중국의 DeepSeek은 2023년에 등장하며 기술적 전문성으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특히 DeepSeek R1 같은 모델은 코딩, 수학, 데이터 분석에 강력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복잡한 알고리즘 해결 요청에 논리적이고 정확한 답을 내놓습니다. 비용 효율성도 큰 장점으로, 적은 자원으로 높은 성능을 뽑아냅니다.

 

Grok : 실시간 트렌드와 유머

xAI의 Grok은 2023년에 등장하며 실시간 데이터(X 플랫폼 기반)를 활용해 최신 정보를 반영하고, 약간의 유머와 반항적인 톤이 매력입니다. "최신 AI 트렌드가 뭐야?" 라는 질문에 재치 있는 답을 줄 수 있습니다. Reasoning 모드로 사고 과정을 보여주는 점도 신뢰를 더해줍니다.


2. 주요 기술과 구조

ChatGPT : Transformer

ChatGPT는 전통적인 Transformer 구조를 기반으로 입력 데이터를 여러 레이어로 처리하며, Attention 메커니즘으로 문맥을 이해합니다.

  • 기술적 특징 : GPT-4o는 약 1.8조 개 파라미터(추정치)를 사용하며, 대규모 데이터로 사전 학습된 후 미세 조정(Fine-tuning)을 거칩니다. o1 모델은 추론 능력을 강화해 복잡한 문제에서 "생각하는 시간"을 늘려 정확도를 높였습니다.
  • 구조 : 입력 ▶ 토큰화 ▶ 다층 Transformer(Decoder만 사용) ▶ 출력
     - 각 레이어는 Self-Attention과 Feed-Forward 신경망으로 구성됩니다.
  • 강점 : 범용성. 창의적 텍스트 생성과 맥락 유지에 탁월
  • 약점 : 계산 비용이 높고 학습 데이터에 의존해 최신 정보가 부족

 

DeepSeek : Mixture of Experts(MoE)

DeepSeek은 Mixture of Experts(MoE)라는 혁신적인 구조를 채택하였습니다. 이건 특정 작업에 필요한 전문가만 활성화하는 방식입니다.

  • 기술적 특징 : DeepSeek R1은 6710억 개 파라미터를 갖췄지만, 질의당 370억 개만 사용합니다. 2048개의 Nvidia H800 GPU로 55일간 학습하며 550만 달러 비용으로 제작되었습니다.(ChatGPT 대비 1/10)
  • 구조 : 입력 ▶ MoE 라우터(작업에 맞는 전문가 선택) ▶ 전문가 모델 병렬 처리 ▶ 출력
     - 전문가는 독립적인 소규모 신경망입니다.
  • 강점 : 코딩, 수학 같은 기술적 작업에서 높은 정밀도와 에너지 효율성 좋음
  • 약점 : 대화의 자연스러움과 창의성 부족

 

Grok : 실시간과 추론

Grok 은 xAI의 독자 기술로, 10만 개 이상의 GPU로 학습되었습니다. 실시간 데이터와 추론 능력이 핵심입니다.

  • 기술적 특징 : DeepSearch 기능으로 X에서 실시간 정보를 끌어오고, Reasoning 모드는 체인 오브 쏘트(Chain of Thought)로 사고 과정을 보여줍니다.
  • 구조 : 입력 ▶ 실시간 데이터 모듈 ▶ Transformer 기반 추론 엔진 ▶ 출력
     - Aurora라는 이미지 생성 모듈이 포함됩니다.
  • 강점 : 최신 정보 반영 속도와 유머 감각
  • 약점 : 정치적 질문에서 중립을 유지하려다 답변이 모호해질 수 있음

3. 비교 분석

기준 ChatGPT (GPT-4o/o1-pro) DeepSeek (R1/Janus-Pro) Grok 3
개발자 유용성 코딩, 창작, 복잡한 추론까지 폭넓게 지원. API 강력
코딩, 수학, 기술적 작업에 초특화. 오픈소스 가능성.
실시간 데이터와 추론 기반 코딩에 탁월. X 연동.
기술적 깊이
O(n log n) 이상의 알고리즘 최적화 설명. 맥락 이해 상승
MoE로 효율적 계산(37B 활성화). 수학 90% 정확도.
Reasoning 모드로 단계별 분석. 10만 GPU 파워.
스타일
자연스럽고 대화적, 감정적 뉘앙스 포함.
딱딱하고 논리적, 기술적 정밀함 중시.
유머와 재치, 반항적 톤으로 독특함.
성능
o1-pro는 깊은 추론(O(1) 수준 문제 해결). 웹 검색 가능.
R1은 AIME 79.8%, 코드 2029점으로 경쟁력 상승.
AIME 52점, GPQA 75점으로 벤치마크 상위권.
실용성
다목적 활용(코딩, 글쓰기, 분석). 글로벌 접근성.
기술 문제 해결에 집중. 중국 외 접근성 제한적.
실시간 정보와 창의적 문제 해결. X 중심 배포.
강점
창의적 코딩과 대화 능력. 멀티모달(텍스트+이미지).
비용 효율성($5.5M 제작). 기술적 정밀도.
속도, 실시간 데이터, 창의적 코드 생성.
약점
계산 비용 높음. 실시간성 약간 뒤짐.
대화 자연스러움 부족. 지역적 제약 가능성.
X 생태계 의존성. 정치적 중립성 논란.
가격
$20/월 (Plus) ~ $200/월 (o1-pro).
$0.5/월 (기본) ~ 커스텀 요금제 가능성.
$50/월 (X Premium+).
추천 상황
다재다능한 AI 원하는 개발자. 글로벌 프로젝트.
예산 절감하며 기술 작업 집중 시.
실시간 트렌드와 빠른 코딩 필요 시.
  • ChatGPT: 다재다능함과 안정성으로 대규모 프로젝트나 창의적 작업에 적합.
  • DeepSeek: 비용 효율성과 기술적 정밀도를 중시하는 개발자에게 최고.
  • Grok 3: 실시간 데이터와 빠른 응답, 독특한 스타일을 원하는 개발자에게 추천.

 

감사합니다.

최근에 올라온 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