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시놀로지 NAS의 Container Manager를 통해 SVN Server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레지스트리 설치

garethflowers/svn

  • 이미지를 검색한 후, 더블클릭하여 최신버전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2. 이미지 실행

  • 다운로드한 이미지를 클릭합니다.

 

  • 실행 버튼을 클릭합니다.

 

  • 컨테이너 이름을 설정하고, 자동 재시작을 활성화합니다.

 

  • 로컬포트를 맵핑하고 컨테이너 볼륨을 NAS 공유 폴더에 매핑합니다.
  • /docker/svn -> /var/opt/svn
  • /docker/svn/conf -> /etc/subversion

 

  • 완료 버튼을 눌러 컨테이너를 실행합니다.

3. SVN 설정

NAS를 터미널로 접속합니다.

 

3.1. 컨테이너 확인

sudo docker ps
  • ps 명령어를 통해 컨테이너 이름을 확인합니다.

 

3.2. 컨테이너 접근

sudo docker exec -it my-svn-server /bin/sh
  • exec 명령어를 통해 컨테이너 내부로 접근합니다.

 

3.3. 레파지토리 생성

svnadmin create /var/opt/svn/my_project
  • "my_project"라는 이름으로 레파지토리를 생성합니다. 레파지토리 이름은 상황에 맞게 작성하시면 됩니다.

 

3.4. ID/PW 생성

vi /var/opt/svn/my_project/conf/passwd
[users]
admin = admin123
myuser1 = myuser111
myuser2 = myuser222
myuser3 = myuser333
  • 해당 파일을 수정하여, ID와 패스워드를 작성합니다.

 

3.5. 권한설정

vi /var/opt/svn/my_project/conf/authz
[groups]
devs = myuser1, myuser2, myuser3

[/]
admin = rw
@devs = rw
* = r
  • 해당파일을 수정하여, 그룹과 권한을 설정합니다.

 

3.6. SVN 서버 설정

vi /var/opt/svn/my_project/conf/svnserve.conf
[general]
anon-access = none
auth-access = write
password-db = passwd
authz-db = authz
realm = My SVN Server
  • 해당파일을 수정하여, 필요한 설정을 작성합니다.

4. 확인

4.1. 컨테이너 재시작

exit
  • exit 명령어로 컨테이너를 빠져나옵니다.
sudo docker restart my-svn-server
  • restart 명령어를 통해 컨테이너를 재시작합니다.

 

4.2. 레파지토리 확인

svn://[NASIP]:3690/my_project
  • Tortoise 등 툴을 이용해서 해당 레파지토리에 접근합니다.

 

감사합니다.

최근에 올라온 글
Total
Today
Yesterday